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영화 트론: 아레스 정보 줄거리 출연진 등장인물 관람평 쿠키여부

by qmffhrm159 2025. 10. 9.

    [ 목차 ]

〈트론: 아레스〉는 ‘컴퓨터 속 세계’를 구경시키는 데서 멈추지 않습니다. ENCOM이 고도화 프로그램 아레스현실로 프린트해 내는 순간, 관객은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는 질문과 마주하죠. 디지털 존재와 인간이 같은 공간에서 숨 쉬게 되면, 인간다움은 어디에 남는가?

 

트론아레스 예매하기

 

자레드 레토의 냉정한 시선, 그레타 리의 ‘안전·윤리’ 라인, 그리고 제프 브리지스가 던지는 철학적 잔향까지—미학은 한층 붉어지고(레드 팔레트), 사운드는 NIN(트렌트 레즈너 & 애티커스 로스)의 공업적 비트로 두꺼워졌습니다. 결과는 분명해요. 아이맥스/돌비로 들어야 제대로 즐길 수 있는, 2025년형 체감 블록버스터.

 

 

1) 한눈에 보는 작품 정보

 

 

 

트론 아레스 상영일정 : 네이버 검색

'트론 아레스 상영일정'의 네이버 검색 결과입니다.

search.naver.com

  • 국내 개봉일: 2025년 10월 8일(수). 북미는 10월 10일(금) 개봉.
  • 원제/등급/러닝타임: TRON: Ares / PG-13 / 119분(대부분의 공식 데이터베이스 기준). 일부 가이드가 140분으로 표기했으나 극장·평단 표기는 1시간 59분이 표준입니다.
  • 감독: 요아킴 뢴닝(콘-티키, 캐리비안의 해적: 죽은 자는 말이 없다).
  • 음악: 트렌트 레즈너 & 애티커스 로스(나인 인치 네일스)—공식 사운드트랙이 9월 19일 발매.
  • 포맷: IMAX·돌비 시네마·4DX·스크린X 등 대형 포맷 상영.
  • 시리즈 맥락: 트론(1982)–트론: 레거시(2010) 뒤를 잇는 세 번째 극장판이지만, 초심자 진입이 쉬운 ‘소프트 리부트’ 성격을 취한다는 평.
  • 쿠키여부: 1개 있음

2) 줄거리

 

 

인류는 더 이상 스크린 속 그리드(Grid)에만 프로그램을 가두지 않는다. 초거대 기업 ENCOM의 신기술은 고도화된 프로그램을 ‘물리적 신체’로 프린트해 현실에 소환한다. 그 첫 실험체가 바로 ‘아레스’(자레드 레토). 그는 교섭과 임무 수행을 위해 현실로 파견되지만, 인간 사회는 곧 환영·경계·통제가 뒤섞인 혼란에 빠진다.

 

ENCOM의 리더 이브 김(그레타 리)AI 윤리·안전을 내세워 아레스의 활동을 관리하려 하지만, 권력가 딜링거 가문(줄리안/엘리자베스)이 통제와 상업화의 논리로 판을 흔든다. 한편, 시리즈의 상징 케빈 플린(제프 브리지스)은 ‘경계가 무너진 시대’에 필요한 철학적 질문을 다시 던진다—우리는 어디까지를 인간이라 부를 것인가.

관람 포인트: 이번 편의 시점은 ‘인간’이 아닌 프로그램(아레스) 쪽에 가깝다. “디지털 존재가 현실에서 인간과 처음 마주하는” 콘셉트가 전작과의 차별점.

3) 출연진·등장인물 해설

 

 

  • 아레스 / Jared Leto현실로 프린트된 고도화 프로그램. 알고리듬적 임무와 새로 학습되는 감정/공감 사이에서 균열을 겪는다.
  • 이브 김 / Greta Lee — ENCOM의 핵심 인물. AI 윤리·안전의 대표자이자 아레스의 인간 내비게이터.
  • 줄리안 딜링거 / Evan Peters — 기술·자본권력을 등에 업은 딜링거家의 행위자. 통제를 사업 논리로 정당화한다는 비판적 시선이 붙는다.
  • 엘리자베스 딜링거 / Gillian Anderson — 가문의 정치·재무 브레인. 공공안전을 명분으로 통치를 설계.
  • 아테나 / Jodie Turner-Smith — ‘타협 없는’ 노선을 상징하는 인물. 급진적 입장으로 아레스·인간 양측과 긴장을 빚는다.
  • 케빈 플린 / Jeff Bridges — 시리즈의 영혼. 경계의 윤리를 환기하는 철학자/증언자 역할로 귀환.
  • 그 외: 하산 미나지, 아르투로 카스트로, 카메론 모나한, 사라 데자딘스 등. 풀 크레딧은 IMDb 참조.

 

인물관계도

  • 아레스 ↔ 이브 김: 주체성 학습 ↔ 안전 프로토콜. 협력과 갈등이 진자처럼 왕복.
  • 딜링거家(엘리자베스·줄리안) ↔ ENCOM: AI를 사업화/통제하려는 권력 축.
  • 케빈 플린 ↔ 모두: “그리드–현실 경계가 무너질 때, 권리는 누구의 것인가?”라는 질문 제기.

4) 미장센·사운드·액션 — 왜 극장(특히 IMAX)인가

 

 

  • 비주얼 디자인: 레거시의 청록 네온 문법을 잇되, 이번엔 레드 팔레트와 유기적 질감을 섞어 ‘현실로 나온 그리드’의 이질감을 만든다. “세계에서 가장 비싼 스크린세이버”라는 혹평조차 압도적 스케일의 뒤집힌 칭찬으로 읽힌다.
  • 액션/체이스: 라이트사이클·체이스가 도심(로스앤젤레스)과 결합하며 ‘경계 붕괴’를 체감하게 편집·설계.
  • 사운드: NIN(트렌트 레즈너 & 애티커스 로스)이 주도한 산업적 비트×멜로딕 신스—대형관 저역에서 진가가 살아난다. 공식 OST는 개봉 전 공개, 프로듀서 코멘트로 톤 결정이 확인됐다.

5) 관람평

 

 

트론아레스 상영일정 보러가기

  • 호평: “미술·사운드·체이스가 극장 체험 그 자체”, “프로그램 시점에서 AI와 인간성을 이미지로 풀어낸 시도가 신선”.
  • 아쉬움: “스토리는 예측 가능하고 감정 구동력이 약하다”, “비즈니스 안전판 같은 서사”라는 비평도 존재.
  • 지수/지표: 로튼토마토 평단 지수 혼합권(약 50%대)에서 출발—‘미학은 찬사, 이야기엔 호불호’가 통설.

에디터 코멘트: 기대치를 ‘감각 우선’에 두면 후회는 적다. 반대로 ‘철학 대서사’를 원하면 호불호가 커질 수 있다.

6) 자주 묻는 질문(FAQ)

Q. 한국 OTT는 언제·어디?

A. 미정입니다. 디즈니 계열은 통상 극장→디지털 판매/대여→스트리밍 순서로 공지되니, 공식 발표를 우선 확인하세요.

 

Q. 음악이 정말 NIN이에요? 다프 punk 아니죠?

A. 네. 이번 편은 **트렌트 레즈너 & 애티커스 로스(NIN)**가 스코어를 맡았습니다(공식 OST 발매·프로듀서 코멘트 확인).

 

Q. 러닝타임이 헷갈려요. 119? 140?

A. 극장 표준은 119분(1h 59m). 일부 가이드(보호자 정보 사이트 등)가 140분으로 적었으나 주요 데이터베이스·예매처는 119분으로 수렴합니다.

 

Q. 전작 배우들은 안 나오나요?

A. 제프 브리지스케빈 플린으로 돌아옵니다. (다른 레거시 캐릭터의 등장은 스포일러 영역·공식 기사 확인 권장)

 

마무리

〈트론: 아레스〉는 디자인·사운드·편집이 결합한 체감형 블록버스터다. 그리드의 미학을 현실로 끌어낸 화면, NIN의 압축적 텍스처는 2025년 대형 스크린에서 경험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. 반면 서사/감정의 깊이는 매체마다 평가가 갈린다. 그래서 이 영화의 정답은 간단하다.

  • 감각을 최우선에 두고 보라—그러면 이 작품은 상영관을 거대한 악기로 만들어 준다.
  • 대서사·철학의 밀도를 기대하면, ‘무드 무비’로 느껴질 수 있다.

다만 한 가지는 분명하다. “디지털이 현실로 나올 때, 인간다움은 어디에 남는가?”라는 질문은,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유효하다. 그 질문을 가장 큰 화면과 가장 큰 소리로 던지는 영화—그게 올해의 〈트론: 아레스〉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