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[ 목차 ]
2025년 7월 31일, 보건복지부는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통해 내년(2026년)의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수급기준을 심의·의결했습니다. 그 결과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.51% 인상, 1인 가구는 7.20% 인상되어 역대 최고 인상률을 기록했습니다
이 변화는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, 곧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 대상과 금액 정원의 변화를 의미합니다. 즉, “올해 소득 때문에 급여를 못 받았지만 내년부터 받을 수 있을까?”, “급여 금액은 더 인상되나?”와 같은 현실적인 질문에 대한 해답이 되는 셈이죠.
이 글에서는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급여별 선정기준 변화, 예상되는 수급자 확장 규모, 그리고 제도 개선 내용을 중심으로 전문가 시각에서 정확하게 정리합니다.
1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정리
기준 중위소득, 총정리
- 2026년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1인 가구: 256만 4,238원 (2025년 대비 +7.20%)
- 4인 가구: 649만 4,738원 (2025년 대비 +6.51%)
- 기준 중위소득은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·의결을 통해 고시됩니다
다인 가구일수록 증가폭이 다소 낮지만, 전체적으로 역대 최대 인상률이며, 특히 1인 가구 비중이 높은(기초수급가구 중 약 74%) 현실을 반영해 더 크게 인상된 점이 주목됩니다
2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선정기준 변화
급여별 선정기준(최저보장수준) 변화
기준 중위소득을 기반으로 산정하는 각 급여별 선정 기준은 기존과 동일하게 중위소득의 % 기준이 유지됩니다:
급여 종류 | 반영 비율 | 2026년 기준 (1인 가구 기준) |
생계급여 | 32% | 약 82만 556원 |
의료급여 | 40% | 약 102만 5,695원 |
주거급여 | 48% | 약 123만 834원 |
교육급여 | 50% | 약 128만 2,119원 |
2025년 대비 전 급여 기준이 모두 인상되었으며, 특히 생계급여 기준은 약 5만 5천 원, 주거교육급여는 약 8만~9만 원 수준 인상됩니다
3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수급자 기준 확대
수급자 기준 확대, 얼마나 늘어날까?
- 이번 인상과 제도개선을 통해 약 4만 명이 새롭게 생계급여 수급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습니다
- 특히 기준소득이 상승하면서 기존엔 수급 대상에서 제외됐던 계층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됨이 핵심입니다
예를 들어:
- 1인 가구 소득인정 80만원인 B씨는, 2025년에는 생계급여 대상이 아니었으나,
- 2026년에는 기준선이 인상되어 생계급여 수급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
4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주요 개선사항
제도 개선사항 주요 내용
① 청년 근로소득 공제 확대
- 기존 29세 이하 청년 대상 → 34세 이하까지 확대, 추가 공제액도 60만 원 + 30%로 상향 조정
→ 소득인정액 감소로 청년 수급 대상 확대 및 자활 유도 효과 기대.
②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
- 다자녀 가구(2명 이상 자녀) 및 승합·화물차 일부에 대해 일반재산 환산율(4.17%) 적용
기존에는 제외됐던 일부 차량 보유 가구도 수급 대상에 포함될 수 있게 개선
③ 의료급여 본인부담 조정
- 의료비 본인부담 기준은 현행 유지
다만 외래 진료 연 365회 초과 시 본인부담률 30% 적용 등의 조치가 도입될 예정이며, 취약계층에는 적용 제외 등 보완 조치 마련
5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대상별 예상 변화
수급자 대상별 예상 변화 사례
- 1인 가구 A씨 (소득인정 100만 원):
- 2025년: 의료급여 미수급 (기준은 95만 원대)
- 2026년: 의료급여 수급 가능 → 기준 인상 덕분에 혜택 확대
- 다자녀 가구 C씨 (4인 가구, 차량 보유):
- 2025년: 차량 재산이 소득으로 반영돼 수급 탈락
- 2026년: 완화된 기준 적용 → 수급 대상 가능성 있음
6.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정책 변화의 의미
정책 변화의 의미와 유의점
- 이번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고 인상률, 청년·차량 기준 완화, 본인부담 조정 등 제도 개선은
- 빈곤층 보호와 수급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실질적 변화로 해석됩니다.
-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여액 자체는 가구 간 소득인정액 차이에 따라 여전히 개인별 차등되므로,
- 단순 기준 인상만으로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가진 않을 수 있습니다.
- 특히 외래 진료 횟수 제한, 본인부담 구조 변화 등은 일부 수급자에게는 불이익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은 검토가 필요합니다
마무리
2026년도 기초생활수급 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인상, 급여별 선정 기준 상향, 수급자 대상 확대, 그리고 제도 개선이 동반된 변화입니다.
- 기준 중위소득은 1인 가구 기준 256만 원, 4인 가구 기준 649만 원으로 역대 최대 인상
-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기준은 각각 기준 중위소득의 32%~50% 비율 유지하되, 실제 금액은 상당 폭 인상됨
- 수급자 대상은 약 4만 명 추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,
- 청년·자동차·본인부담 관련 제도개선도 병행 적용되어 수급 접근성이 강화됩니다.
이 글이 여러분의 2026년 기초생활보장 변화 이해와 사전 대응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